우리집

[스크랩] (대구여행) 옻골마을의 경주최씨 종가

대가야고령 2011. 8. 3. 18:15

 

 

 

                  도심속 전통 한옥마을 옻골 경주최씨 종가

 

                      집을 나서니, 비가 억수처럼 쏟아진다. 그래도 멀지 않은 

                    곳이니 윈도우 브라쉬가 숨가쁘게 움직여 시야을 터주는 대로

                     조심스레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을 찾아간다. 

 

                         얼마전 TV 드라마에 경주최씨를 주인공으로 하여 방영된 적이 있었다.

                       드라마 내용은 경주최씨 문중에서 흉년에 가난한 소작농이나. 빈농가에

                       대한 갈취보다는 문중 곳간을 열어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도와주는 과정에서 부패한 현감,관리들에 굽히지 않고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비교적 감명 깊게 본적이 있다.

                      (100% 논 픽션이길 바라지만)

                        

   

 

 

                                                                   마을 입구에 도착하니 옻골마을이란 안내판과

                                                  느티나무, 회화나무 두 그루가 보인다. 이들은 모두 수령 350년을

                                                  자랑하는데, 380여년 역사의 이 마을과 비슷한 연배다.

                                                     특히 회화나무는  옻골에 처음 마을을 세운 대암 최동집선생의

                                                 이름을 따 '최동집 나무'로 이름을 지었다.

 

     

 

                    이 곳 옻골마을은 경주최씨 집성촌으로,  광정공파(匡靖公派)의 후손들이 모여사는

                동성촌락(同姓村落)으로 현재 20여 호의 고가들이 어우러져 있다.

                   종택인 백불고택은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양반가옥의 양식과 생활을  볼 수 있으며,

               대구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1982.3.4)된 후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261호로  지정되었으며(2009.6.19),

               조선시대(1616년) 학자인 최동집이 세운 모실과 보본당과 사당 등은  4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수구당의 야트막한 담장! 수구당은 백불고택의 사랑채로 한 일자"-"형으로 지어진 건물이며,

                   음의 상징인 서쪽에 배치된 이 건물은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동산서원이 훼손될 때 나온

                   목재의 일부를 사용해 1866년에 중건한 건물이다.

 

 

                문 안에 들어서니 수구당이란 현판이 있으며 건물 오른 편에는 굴뚝이 낮은 굴뚝이 보인다.

               렌즈에 묻은 빗물 방울 자욱이.....아~휴

 

 

 

 

                  백불고택에 들어가기 전, 아름다운 담장을 따라 둘러보니, 비에 젖은 능소화가 담장위에

                몇 무더기 소담스럽게 피어 아름답기 그지없다.

 

                    비에 젖어 바닥에 떨어진 능소화 꽃잎도 멋진 담장과 어울리니 또다른 운치가 있다.            

 

                          양 편에 토담  있는 골목길은 정말 멋이 있어, 사진사들이 그냥 지나칠 수가 없을 것 같다. 

 

                  옻골마을의 종가는 조선 영조 때의 학자 백불암(百弗庵) 최흥원 선생의 호를 따 '백불고택'이라 하는데,

              대구지역 주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대구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

              

                    백불고택의 사랑채와 안채(뒷편)가 보인다. 현재 이곳에는 종손을 비롯한 가족 4명이 살고 있는데,

                명문가의 종가답게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대구 지역에 있는 조선시대 주택 가운데 가장

                오래된 건축물(400년)로 안채와 사랑채, 재실, 가묘, 별묘등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이 주택은 조선시대

                반가의 건축과 생활상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고 한다.(중요민속자료 제261호)

 

                        고택의 사랑채에는 "백불고택" 현판이 붙어 있다.

                      지붕은 모두 책을 펴서 엎어놓은 것 같은 형태, 즉 八자형 지붕인

                      박공지붕(일명, 뱃지붕 또는 맞배지붕이라고도 함.)으로 되어 있다.

 

                     빗방울이 렌즈에 묻어 표시가 나지만, 옆에서 바라본 고풍스런 백불고택 사랑채.

 

                         꽃은 비에 젖어도 이쁜데 사람은 왜 중얼거리는 사람을   "비 맞은 **인가 " 또는 "비 맞은 생쥐"

                     하고 놀려댈까?

                       사람들이 비를 맞아도 꽃처럼 아름다울 수는 없을까?

 

                     고택 사랑채에서 오른 편으로 보본당의 건물이 보인다.          

 

                     보본당은 백불암 최흥원 선생이 5대조 대암선생의 제사를 모시기 위하여1753년(영조29년)에 건립

                   하였으며, 부조위 사당과 재실,음식을 장만하는 포사로 구성되어 있다.

                     그  뒤편에는 가묘와 별묘의 사당(祠堂) 2동이 각각 일곽의 흙담장 안에 배치되어 있다. 

 

                     

                     백불암 선생의 불천위 사당인 대묘는 1,711년 세워져 가묘로 이용되고 있는데,1737년에

                   지어진 대암 선생을 모신 별묘와 함께 종가의 동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조상과 관련된 공간은 양의 상징적인 의미인 동쪽에 배치하는 음양오행사상을  따른

                   것이다

 

 

                     개울을  따라 동계정으로 갔다. 동계정은 백불암 선생의 아들인 동계(東溪) 최주진 선생의

                  학문을 기려 세운 정자다. 6·25 때 마을의 서당으로 쓰이는 등 주로 강학의 장소로 이용돼 왔다고

                  한다,

 

 

 

 

                    비가 많이 내려  개울물의 엄청난 포효 소리!  인간에게 자연의 커다란 힘을 느끼도록 하는 것 같다.

 

               

 

                  최흥원 정려각

                 조선 정조 임금 때 세자의 익찬(翊贊 , 임금의 정사를 잘 도와서 인도함) 이었던 백불암 최흥원선생의

              효자비각으로, 선생의 생존시 효성을 기려 선생의 사후인 1789년 나라에서 세운 정려각이다. 각 안에는

              정조대왕이 하사하신 증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겸 경연참찬관행어모장군세자익위사익찬지려

              (贈通政大夫 承政院左承旨兼 經筵參贊官行禦侮將軍世子翊衛司翊贊之閭 )라고  새긴 홍패가 걸려있다.

                (이 홍패를 촬영하려고 비 속에서 애쓰다가 실패하였음) 

 

                          마을을 돌아보고 나오며 뒤를 돌아보니, 비 속의 팔공산자락이 희미하나마 보인다.

             

                          한필원 교수의  ’한국의 전통마을을 찾아서’ 저서 중에서

                       “우리는 놀랍게도 전통마을에서 이 시대가 가장 필요로 하는 가치들이 숨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전통마을에는 공동체의 소통과 결속을 뒷받침하며, 소수의 사람들이 최상을 차지하기보다 모두가

                     최적을 누릴 수 있는 해법이 담겨 있다.”

                     봉건 독재의 왕정에서 위정자들이 얼마나 백성을 배려하는지 감동스런 이야기가 아닐런지?         

 

                            그러면서 한 교수는 한국 전통마을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말, 곧 “인간이 자연과 하나 되어

                    건강하게 공존”하는 논리들이 숨어 있다는 논급도 빼먹지 않는다고 한다.

 

                                    위       치  :  대구 광역시 동구 둔산동 386

                                    연   락  처 :  053  -  983  -  6407

 

                                     교통편 : 칠성시장에서 옻골마을까지 운행하는 동구3번 버스가

                                                  있으나,하루 14번 운행으로 정확한 도착시간을 모르면

                                                  이용하기 불편하므로, 자가용이나 택시를 이용함이

                                                  편리함.

 

 

                                           

 

                                                                                                      

 

출처 : 선돌의 테마와 풍경여행
글쓴이 : 선 돌 원글보기
메모 :